본문으로 바로가기

Spring - AOP

category CS 공부Java, Spring (재정리) 4년 전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은 여러 클래스에 나뉜 책임을 Aspect, 관점이라고 부르는 별도의 클래스에 캡슐화하는 방식을 말한다. IoC가 낮은 결합도를 특성으로 한다면 AOP는 높은 응집도를 특성으로 한다.

 

쉽게 말해, 클래스의 로직들을 핵심적인 관점( 비즈니스 로직 ), 부가적인 관점 ( 트랜잭션 관리, 로깅, 캐싱, 보안 등 )으로 나누어 본다면, 핵심 로직은 클래스에 남겨두고, 공통되는 부가적인 관점들을 모듈화하여 Aspect라고 부르는 클래스에 담는 것이다. 
결국 흩어진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s)들을 캡슐화하여 비즈니스 로직에서 분리하여 재사용하겠다는 것이다.

 

AOP 주요 개념

  • Aspect : 위에서 설명한 흩어진 관심사를 모듈화 한 것. 주로 부가기능을 모듈화함.
  • Target : Aspect를 적용하는 곳 (클래스, 메서드 .. )
  • Advice : 실질적으로 어떤 일을 해야할 지에 대한 것, 실질적인 부가기능을 담은 구현체 ( 로깅, 트랜잭션 관리 등 )
  • JointPoint : Advice가 적용될 위치, 끼어들 수 있는 지점. 메서드 진입 지점, 생성자 호출 시점, 필드에서 값을 꺼내올 때 등 다양한 시점에 적용가능
  • PointCut : JointPoint의 상세한 스펙을 정의한 것. 'A란 메서드의 진입 시점에 호출할 것'과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Advice가 실행될 지점을 정할 수 있음.  execution, args, within, this 와 같은 포인트컷 지정자를 사용해 어드바이스를 지정할 메서드를 찾는다.
  • @Before, Around, After 등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PointCut 이 지정한 어드바이스 실행 전후, 전, 후 실행될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

| 스프링 AOP 특징

  • 어드바이스의 대상 객체마다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진다.
  • 프록시는 AOP 프레임워크에 의해 호출하는 객체와 대상 객체 사이에 도입되는 중간 객체이다.
  • 실행 시점에서 프록시는 대상 객체 호출을 가로채고 대상 메서드에 적용할 어드바이스를 실행한다.
  • 프록시 패턴 기반의 AOP 구현체, 프록시 객체를 쓰는 이유는 접근 제어 및 부가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 스프링 빈에만 AOP를 적용 가능
  • 모든 AOP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스프링 IoC와 연동하여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흔한 문제(중복코드, 프록시 클래스 작성의 번거로움, 객체들 간 관계 복잡도 증가 ...)에 대한 해결책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


참고: https://engkimbs.tistory.com/746 [새로비]

CS 공부Java, Spring (재정리)카테고리의 다른글

final, static 키워드  (0) 2021.04.11
자바 프로그램의 실행, 컴파일 과정  (0) 2021.04.11
Spring - MVC, 서블릿  (0) 2021.04.01
Spring - DI, IoC  (0) 2021.03.25
java template 메서드  (0) 202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