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OSI 7계층

category CS 공부Network (재정리) 4년 전

OSI 7 계층

  • 1계층 - 물리 계층
    • 전기적 신호를 비트로 변환 ( 리피터 ) -> 노드간 물리적 연결 ( 허브 )
    • 사용 유닛 : bits
    • 사용 프로토콜 : 이더넷, 모뎀
    • 정리 - 디지털 신호 (data : 1100 1010 ... ) 를 아날로그 신호 ( 회로, 전기 신호 ) encode, decode 하여,
      컴퓨터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계층.
  •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오류와 흐름을 제어(제거) 하여 ( 브릿지 ) 신뢰성을 확보.
    • 신호를 MAC 주소로 변환 후 목적지로 전송 ( NIC, 스위치 )
    • 사용 유닛 : frame
    • 사용 프로토콜 : MAC, PPP, 무선랜
    • 정리 - 1계층에 의해 컴퓨터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 스위치를 활용하여 여러 컴퓨터를 같은 망에 연결하고,
      MAC 주소를 사용하여 원하는 특정 컴퓨터,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해주는 계층.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다중 네트워크 링크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것을 책임짐.
    • 데이터 전달의 경로를 설정함 ( 라우터 + 라우팅 프로토콜 )
    • 사용 유닛 : packet
    • 사용 프로토콜 : IP, ICMP, IGMP, RIP
    • 정리 - 2계층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들이 다중으로 군집하여, 인터넷처럼 확장되어 연결되었을 때,
      라우터와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까지의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해주는 계층. 
  • 4계층 - 전송 계층
    • 메시지 ( 데이터 )를 전송하는데에 필요한 발신지와 목적지 간 여러 제어와 에러 대응하여 신뢰성 확보
    • 프로세스간 연결 ( 포트 )
    • 사용 유닛 : segment
    • 사용 프로토콜 : TCP, UDP, ARP, RTP, SCTP
    • 정리 - 1 ~ 3 계층에 의해 전세계의 컴퓨터간 통신이 가능해졌을 때, 특정 프로세스에게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해 주도록 포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간 연결을 해주는 계층.
  • 5계층 - 세션 계층
    • 포트, 통신 장치간 상호 연결 및 확인 ( 논리적 연결 )
    • 동기화
    • 사용 유닛 : data
    • 사용 프로토콜 : SSH, TLS
  • 6계층 - 표현 계층
    • 데이터 암호화 및 복호화를 통해 해석, 변형, 가공
  • 7계층 - 응용 계층
    • data를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 제공
    • 사용 프로토콜 : HTTP, FTP, DHCP, SMTP, DNS
  • 5 ~ 7 계층을 묶어 응용 계층이라고 정의하는 TCP/IP 5계층을 사용하는 것이 대세이다.

CS 공부Network (재정리)카테고리의 다른글

REST / RESTful  (0) 2021.04.11
3 way handshake, 4 way handshake  (0) 2021.04.11
HTTP vs HTTPS + 암호화 키  (0) 2021.04.06
TCP vs UDP  (0) 2021.04.06
HTTP GET vs POST  (0) 2021.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