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CAP 이론

category CS 공부DataBase (재정리) 4년 전

NoSQL CAP이론

출처 - blog.skby.net/nosql-cap%EC%9D%B4%EB%A1%A0/

I. 고확장성 분산 DB의 배경, NoSQL의 CAP이론

가. CAP 이론

분산 시스템이 갖추면 좋은 특징 C, A, P를 말하며, 세 가지 중 두 가지 특성 보유 가능 이론

나. CAP의 요소

Consistency – 모든 노드가 같은 시간에 같은 데이터
Availability – 노드가 다운되어도 다른 노드 영향X
Partition Tolerance – 일부메시지 손실에도 시스템 정상동작
  • 데이터 관리 시 3가지 중 어느 2가지에 중점을 두는지가 중요

 

II. CAP 이론 구조 및 활용사례

가. CAP 이론 구조도

나. CAP 이론 활용 사례

분류사례설명

C + A RDBMS – 시스템 다운에도 메시지 손실 방지
– 트랜잭션이 필요한 경우 필수
C + P 몽고DB
HBase
– 모든 노드가 함께 퍼포먼스를 내용 성능 위주의 구조
A + P 카산드라 – 비동기화된 서비스 스토어에 적합
  • NoSQL시스템들은 AP, CP의 특성 가지는 분산 시스템으로 구성

 

III. NoSQL 적용 동향

해외 사례 – 구글 Bigtable, 카산드라, 트위터
국내 사례 – NHN 인증 플랫폼, Daum Cafe
  • 웹의 대용량화, 고성능화, Scale-out 위해 CAP의 범주 중 CP, AP의 요구로 인한 NoSQL 활용도 증대

CS 공부DataBase (재정리)카테고리의 다른글

DB Connection Pool  (0) 2021.04.21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0) 2021.04.21
클러스터링 vs 레플리케이션 vs 샤딩  (0) 2021.04.21
B, B+ tree  (0) 2021.04.21
Index 인덱스  (0) 2021.04.11